건강정보

당뇨에 좋은 천사푸드 찾기 - 양파편

천사푸드 2021. 8. 13. 05:47
반응형

안녕하세요.

꾹스입니다.

당뇨에 대해서 공부를 하다 보면,

평소의 생활습관에 대해서 많이 개선해야 한다고 합니다.

 

특히, 

먹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말하죠.

 

아무래도,

혈당과 직결되는 문제라서

식사의 사소한 부분이라도

당뇨에 좋은 것을 먹고 싶습니다.

 

기본적으로 3백(흰쌀, 설탕, 밀가루) 음식은 피해야 하는 건 알고 있지만,

평소에 먹는 음식들은 당뇨에 좋은지, 나쁜지는 

자세히 알아보지는 않았죠.

 

그래서 준비한 콘텐츠

이름하야~

"당뇨에 최고의 천사 푸드 찾기!"

여러분과 같이 함께 공부하는 첫 시간입니다.

많이 두근거리네요~

첫 번째로 만나볼 식품은 

식탁 위의 불로초라 불리는

'양파'를 주제로 잡아봤습니다.

과연, 양파는 당뇨에 좋을까요?


◆ 들어가기에 앞서서..

 

인터넷에 검색을 해보면,

양파와 당뇨에 관한 수많은 글들이 보입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양파즙에 관한 이야기가 많더군요.

 

제가 책에서 공부한 내용으로는

채소를 섭취할 때는 식이섬유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가급적으로 생으로 먹어야 하는데,

이상하게도 사람들은 갈아버린 양파즙을 많이 추천하십니다.

저는 의아했어요.

 

"왜 양파즙을 추천하지?"

 

물론, 양파즙은 여러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양파의 매운맛 때문에 생으로 드시지 못하거나,

턱이 불편하신 분들은 즙 형태로 드셔야 하고요.

 

그리고 무엇보다 먹기 간편합니다.

냉장고에서 바로 꺼내 먹으면 되니깐요.

그래서

매운맛을 제거한 즙 형태의 양파도 나쁘지는 않다고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저는 되도록 야채는 생으로 드시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해요.

야채를 갈아서 드시면, 섬유소가 다 죽어버리기 때문이죠.

 

그럼, 잠깐 퀴즈!

당뇨인에게 섬유소가 왜 중요할까요?

 

정답은 섬유소는 혈당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답니다.

우리가 섭취한 식이섬유는 음식물을 빠르게 소장을 지나가게 만들어 주고,

 몸에 흡수되는 것을 저하시켜줍니다.

당뇨환자는 인슐린 저항성을 가지기 때문에, 혈당조절을 위해서는 

꼭 섬유소를 섭취해야 합니다.

그렇기에, 

저는 되도록 야채는 생으로 드시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 양파

 

 

그럼, 이제 양파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먼저, 양파의 기본 성분표입니다.

(하얀 양파 100g 기준 자료출처: usda)

열량 36 kcal 섬유질 1.2 g
수분 91.3 g 29 mg
단백질 0.89 g 칼륨 141 mg
지방 0.13 g 나트륨 2 mg
회분 <0.4 g 아연 0.12 mg
탄수화물 7.68 g 비타민 B6 0.1 mg
총당류 5.76 g 망간 0.099 mg
칼슘 21 mg 셀레늄 <2.5 µg
0.15 mg 콜레스테롤 0 mg
마그네슘 9.3 mg 비타민 c 7.4 mg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양파는 대부분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다음으로 탄수화물이 제일 많이 포함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단맛이 나는 것에 비해서 은 굉장히 적게 들어가 있습니다.

 

또 당뇨인에게 필요한 섬유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미네랄 중에서는 칼륨을 제일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열량도 100g에 36칼로리로 매우 좋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좋아했었던 치킨은 100g에 250칼로리이기 때문이죠 ㅎㅎ.

다들 아시겠지만, 같은 양을 먹어도 칼로리가 적은 쪽이 당뇨인의 식사에 훨씬 좋습니다.

 

우리는 성분표를 통해

양파 100g으로 우리는 3대 영양소와 다양한 미네랄,

그리고 섬유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것도 적은 열량으로 말이죠!

일단, 양파 자체는 천사 같은 음식이란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그럼, 왜 사람들은 양파가 당뇨에 좋다고 하는 것일까요?

 


◆ 케르세틴(Quercetin)?

 

흔히, 양파의 케르세틴이라는 성분 때문에 당뇨에 좋다고 합니다.

양파에는 케르세틴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껍질에는 속보다 무려 6배나 많은 케르세틴이 들어있습니다.

그래서 껍질을 달여먹거나, 갈아서 드시곤 합니다. 

 

케르세틴의 효과는 엄청난데,

항암효과,

노화와 염증에도 좋고,

혈관에도 좋다고 합니다.

심지어 비만 치료에도 좋다고 하죠.

 

여기가 끝이 아닙니다.

알레르기, 천식, 통풍, 폐, 백내장 등 

케르세틴이 못 고치는 병은 없어 보일 정도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렇게 만능인 영양소가 과연 존재할까요?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모르면 알아봐야죠.

의문을 풀기 위해서, 케르세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먼저, 여러분은 케르세틴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케르세틴은 폴라보노이드 종류 중 하나입니다.

 

폴라보노이드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드리면,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라는 유기화합물을 얻습니다.

그리고 아시다시피 그 유기 화합물은 저희가 살아가는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영양소이죠.

 

하지만 폴라보노이드는 유기화합물이지만,

이차대사산물이기 때문에

우리 신체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물질입니다. 

 

여기까지 이해하셨나요?

조금.. 복잡하죠..

(맨밑의 참고부분을 보시면 좀 더 도움이 되실겁니다.)

 

즉, 쉽게 말해서

케르세틴이라는 성분은 우리 몸에 없어도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근거로

 

미국에서는 케르세틴의 효능에 대해서 인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크게 3가지였는데,

 

1. 실제로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실험 결과가 없다.

2. 실험실에서 동물들에게 시행한 실험의 결과만으로는 효능으로 인정할 수 없다. 

3. 케르세틴은 섭취를 해도 우리 몸에 흡수가 되기도 전에 대부분 사라진다.

 

그래서

미국의 식약청인 FDA는 케르세틴의 효능에 대한 표시를 금지했고,

미국의 암 협회에서는 케르세틴의 항암효과는 없다고 소개했습니다.

 

 

 

 

 

 

 

 

 

 

 

헉!?!

"그럼 한국에서 케르세틴으로 광고하는 제품들은 모두 거짓말인 건가요?"

라는 생각이 드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단정 짓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이차대사산물은 우리 신체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지만,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면

생명체의 생존율이나 생식률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모르기 때문이죠.

 

그래서 우리가 살면서

어느 정도 섭취해야 하는 성분은 맞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 제가 드리고 싶은 말은

케르세틴을 만병통치약으로 생각하면 안 됩니다.

 

저는 케르세틴은 보조제를 사면서 까지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식으로 섭취를 해도 충분하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어느새 양파의 케르세틴 이야기로 빠져버렸네요 ㅎㅎ;

다시 본론으로 들어와서 당뇨로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양파는 당뇨의 천사 푸드인가?

 

저는 'NO'라고 대답하겠습니다.

물론, 양파는 훌륭한 식품입니다.

분명, 당뇨에도 좋은 음식입니다.

모든 사람들이 꼭 먹어야 하는 음식이라고 생각하고요.

 

하지만, 당뇨의 천사 푸드로서는 낙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찾는 식품은 정말로 당뇨에 최고의 식품이어야 하니깐요.

 

오히려 양파는 다이어트와 정력의 천사 푸드이지 않을까 싶네요^^


◆ 마치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처음 시도한 콘텐츠라 어떠셨을지 모르겠네요.

그래도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아부지랑 당뇨치료를 하면서,

작게나마 당뇨에 대한 글을 쓰곤 했는데,

어느새 저에게 구독을 해주시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너무나 감동이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더욱더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뿅!

 

 

 

 

참고)

폴라보노이드 : 식물이나 균류의 이차대사산물의 일종

이차대사산물 : 생명체에 있어 일반적인 성장, 발달 혹은 생식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유기 화합물

유기 화합물: 분자 구도의 기본골격으로 탄소원자를 갖는 화합물 , 대표적인 예로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이 있다.

--> 케르세틴은 식물에 들어있는 이차대산물인 유기화합물이다.

  케르세틴의 관한 더 자세한 정보 : https://en.wikipedia.org/wiki/Querceti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