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션 5 Behaviors - Fade in / Fade out
오늘은 모션5의 Behaviors 기능들 중 Fade in / Fade out 에 대해서
부모님도 알수있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먼저, behaviors는 내가 원하는 그림이나 객체를 움직이게 만들어주는 속성입니다.
그렇기에 제일 우선으로 효과를 적용받을 객체가 필요합니다.
(객체는 효과를 받는 물건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페트병(객체)에 라벨(behavior)을 붙이는 것처럼 말이죠.)
저는 음..
브러쉬 툴로 사각형을 그리겠습니다.
그러면 좌측 Layers에 paint Stroke가 생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aint stroke는 붓으로 쓱쓱 그렸다는 뜻입니다.)
이제 준비는 끝났습니다.
페트병이 생겼으니, 라벨을 바로 붙여봅시다.

왼쪽 fade in/out 톱니바퀴를 마우스로 끌어다 객체위로 가져다 둡니다.
그러면 해당 객체에 선택한 행동이 들어가게 됩니다.
그럼 paint Stroke 객체 밑에 해당 행동이 생긴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제 fade in/out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먼저, 사각형 객체에 fade in/ out을 먹였더니,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확인해봐야겠죠.
화면 밑에 timeline에서 재생버튼을 눌러봅시다.
이것을 통해서 우리는 fade in/out이 해당 객체를 천천히 등장시키고, 천천히 사라지게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진에 적용시켰다면, 사진이 천천히 등장했다가 천천히 사라지는 것이지요.
우리가 영화를 볼 때, 처음 시작은 어두운 화면에서 천천히 로고가 나옵니다. 그리고 끝날때는 화면이 천천히 어두워지죠.
그것과 마찬가지로 fade in/ out 은 객체의 시작과 끝을 영화처럼 만들어 주는 효과입니다.
영어 뜻 그대로 "fade in = 점점 뚜렷해지다. fade out = 점점 사라지다." 인 것이죠.
해당 속성이 어떤 것인지 알았습니다.
다음은 fade in/out 을 세부조정하는 법입니다.
내가 선택한 객체의 행동 속성은 위 사진이 가리키는 곳에서 모두 볼 수 있습니다.
지금은 fade in/out 밖에 없으니, 해당 속성만 나오는 것입니다.
그럼 하나씩 알아봅시다.
맨 윗줄부터 보겠습니다.
1. 파란 체크박스를 통해서 해당 행동을 껏다 켰다 할 수 있습니다. 방 불 스위치처럼 말이죠. 그리고 해당 행동의 이름이 나옵니다.
2. fade in time 은 객체가 뚜렷해지는 시간을 정해줍니다. 해당 숫자가 커지면 뚜렷해지는 시간이 길어지고, 짧으면 빠르게 뚜렷해집니다.
3. fade out time 위와는 반대로 사라지는 시간을 정해줍니다. 해당 숫자가 커지면 사라지는 시간이 길어지고, 짧으면 빨리 사라집니다.
4. start offset은 시작지점을 정해줍니다. 해당 수치가 0이면 0초부터 시작하고, 숫자가 늘어날수록 뚜렷함의 시작이 늦어지는 것입니다.
영어를 해석하면 '시작 간격을 띄운다'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5. end offset은 반대로 끝나는 지점을 정해줍니다. 숫자가 늘어날수록 사라짐의 시작이 빨라집니다.

모션 5 - behaviors의 fade in/out 끝.
수고하셨습니다.